Program_old
Boundaries into New Pathways:
Enacting the power of arts and arts education
2020년 9월 14일
Opening Ceremony 개막식
*상세 프로그램은 8월 중으로 안내 예정입니다.
*상세 프로그램은 8월 중으로 안내 예정입니다.
9:00am ~ 10:00pm Seoul, KST(UTC+9)
1:00am ~ 2:00pm Edinburgh, UTC
8:00pm ~ 9:00am New York, EDT(UTC-3)
언러닝 트랙에서는 예술교육실천가도 교육 대상자처럼 다시 탐색하는 과정, 2050년 예술교육 현장을 가상으로 상상하기, 놀이를 통한 예술교육실천가와 교육 대상자 간의 위계 깨뜨리기, 정해진 프로그램을 실행하기보다 아이들과의 이야기로 프로젝트를 만들어나가는 과정, 일상의 수행으로서의 예술 활동과 비평적 교육학과의 관계 안에서 발생하는 언러닝 프로세스, 불확실성이 가득한 세상에서 예술을 향한 질문 던지기, 실패경험을 통해 배우기 등의 발제가 이어진다.
이와 같이 예술교육실천가들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향해 질문을 던지며 확장된 관점을 마련하고 주체적 실천을 해나간다. 그 실천이 결국 다른 예술교육실천가 혹은 교육 참여자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그동안 쓰지 않던 몸의 근육을 써보며 익숙했던 것들로부터 멀어지는 TA들의 탐색과 실천, 자기 실험에 대해 ITAC에서 함께 논의해보고자 한다.
세션들에서 티칭 아티스트들은 다음과 같은 주제에 대해 깊이 탐구하게 된다:
앨리슨 사라 그린
(호주)킥스타터 크리에이티브 아트 프로젝트에서 시도한 놀이를 통해 교육에서의 위계를 교란시키기
강민주(한국)예술과 교육 사이에서 배움을 창작하기
바위와 계란(한국)
김재현, 문해주, 최진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상상워크숍 2050
다나 L 스콰이어
(호주)창조적 언러닝, 모호성의 수용
비에타 문(미국) & 문진탁(한국)변화를 위한 창조적 선택
이지연(한국)언러닝 프랙티스: 엄마의 제스처를 확장하기
린지 미셸 맥라간
(영국)어떻게 무용과 같은 과목이 전통적인 학교의 생태계나 학습 환경에 지어진 경계에 스며들수 있을까
헬리아 루실 드 바로스/아트 코프(미국)
제임스 마일스(미국)문화를 위해 실천하라
페넬로페 엘사 바틀라우(호주)한 단어로부터
예정원(한국)한사람의 삶으로서 문화예술교육: 아이들의 예술대화로 다양한 목소리의 형태를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 활동기
마이클 브루스 솔리스
(호주)예술가가 이끌어내는 임팩트를 달성하기 위한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언러닝
헤더 마샬(영국)질문하기의 중요성-언러닝을 위한 질문하기와 질문받기
알레한드로 포사다 & 마리아 헬레나 타마요-토본/이베라카데미(콜롬비아)자기주도적 예술교육의 주요 방법론으로서의 언러닝과 질문하기
이정선(한국)예술, 우리는 무엇을 하고, 무엇을 만들고, 그 안에서 우리 자신을 어떻게 발견하는가
안라영(한국)음악을 대화로 인지하기
박진희(한국)예술교육의 교육환경과 자원에 대한 새로운 분석과 해석
백선영(한국)예술교육의 지속성, 예술적 경험의 필요성: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을 중심으로
채우리(한국)아트프레너십, 예술가를 예술가로 살아가게 하는힘
페기 페로아
(싱가포르)나의 노래를 소개합니다
윤혜정(한국)교사도 학생처럼 다시 탐색하는 과정으로서의 언러닝
김수연(한국),허정미(한국)실패를 통해 배우기: 어떻게 실패 경험을 바라보고 실패를 통해 배울수 있을까
최태윤(한국/미국)시적인 방법으로 예술과 기술을 가르치기
배인숙(한국)freeB 연주하기
사이먼 샤키(호주)필연적 공간: 단절의 보류
안데스(한국)지질학적 베이커리
9:00am ~ 10:00pm Seoul, KST(UTC+9)
1:00am ~ 2:00pm Edinburgh, UTC
8:00pm ~ 9:00am New York, EDT(UTC-3)
로컬앤노마딕 세션은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지금, 여기'에서 주류적 흐름에서 벗어나 있는 공동체와 예술의 연계를 시도하려는 현장의 노력들과 여기서 촉발되는 담론들에 포커스를 맞춘다.
도시를 벗어나 지역의 삶속에서 수행중인 예술교육의 실천들, 국가라는 경계를 넘어 예술가의 이동 또는 협력으로 수행되었던 모빌리티의 실천들, 그리고 자발/비자발적인 이주로 인한 디아스포라 과정에서 소수자 커뮤니티의 문화적 정체성을 찾아가는 예술적 실천 사례들을 만나게 된다. 또한, 아시아 대륙 내에서도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로컬리티와 예술교육이 만나는 사례를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이를 통해, '지금, 여기'에서 예술은, 예술가는, 예술교육은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지를 다시 한 번 질문하고 서로의 관점을 공유하고자 한다.
강지현(한국)
권기성(한국), 박혜민(한국)청소년들을 위한 지속가능한 예술교육: 농촌에서의 기회와 과제
최세현(미국)미래된 오래: 명확한 2020년의 비전
링탕(미국)글로벌 커뮤니티에서의 중국무용 교육 – 실천과 도전
존 딕, 제시카 메이스 (미국) 리타 티카넨, 툴러 유콜라 누르테바 (핀란드) 문타저 제브리니, 수헤일 쿠리 (팔레스타인) 대니 베도니, 데이비드 페드로자 (베네수엘라) 조타지 알베스, 클라우디아 프레이세다스 (브라질) 이하나, 김세린 (한국)6개국의 꼬마 작곡가 프로젝트
신보슬(한국)지역에서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 (사례 연구)
제프리 토빈 로슬레인
(미국)러닝-언러닝-변화-번영: 뉴욕에서 프놈펜까지, 예술 교육의 방법들을 적용하기
뉘엔 린 피유
(미얀마)미얀마에서의 예술교육이라는 도전: 어떻게 예술교육은 우리의 사고와 배움과 교육에 영향을 미쳤나
데질리나 다 아리
(인도네시아),
아군 구나완
(인도네시아)파시타니아의 예술교육; 인도네시아 예술 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향한 대안
클라우드베리 비트라이스 맥린(영국)가능성의 힘이 있는 곳
박지은(한국)목소리 찾기부터 조화를 이루기까지: 음악 교육과 음악 치료의 융합
이혜원(한국)블루밍루더스: 공동체 안에서 함께 흘러가는 예술가 되기
이화영(한국)소리가공소
굳스쿨
(인도네시아)사변적 공동체
노주희(한국)안동 프로젝트의 비전, "친구야, 같이 공연장에 가자!"
에릭 부스(미국)영향력의 확대 : 예술 외의 분야에서 변화를 창조하는 예술가들
마크 프로노보스트
(캐나다)
마리카 크레떼 레이쥬(캐나다)지역에서 시민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예술교육의 본질적 힘을 어떻게 집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9:00am ~ 10:00pm Seoul, KST(UTC+9)
1:00am ~ 2:00pm London, UTC
8:00pm ~ 9:00am New York, EDT(UTC-3)
지금 우리는 전례없이 더 불안하고 불확실해지는 경계와 장벽의 시대에 직면해 있다. COVID 19로 대변되는 이 예측하지 못한 변수는 단순히 국가나 사회, 집단 간의 경계와 장벽 뿐 아니라 사람과 사람간의 만남과 신뢰를 차단하고, 심지어 우리가 믿어왔던 예술행위의 근본에 대해서까지 의문을 던지게 된다.
예술가와 예술교육의 본질은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 대해 끊임없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더 깊은 질문을 던지고,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마주한 차별과 혐오, 갈등과 대립, 불안과 무기력이 극심해지는 혼란의 시대에, 예술가와 예술교육의 역할은 과연 무엇인가? 우리의 존재와 작업은 우리의 커뮤니티, 사회, 그리고 국가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아내고 변화를 만들어내는데 기여하고 있는가? 예술교육과 사회참여적 예술을 통해 우리는 어떻게 서로의 다른 목소리를 포용하고, 화합에 기여하며, 평화로운 공존을 함께 꿈꾸는가?
우리는 소외된 흑인청소년들이 무용을 통해 세상과 만나는 일에 매진해온 Alvin Ailey 청소년 캠프의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파킨슨 병 환자들, 장애학생, 소외된 청소년들 등과의 다양한 예술작업을 만나게 된다. 또한 움직임, 놀이, 무용, 최신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예술가들의 사례와 다양한 고민들을 함께 나눌 것이다. 나아가, 우리는 ‘트라우마를 지닌 여성들과의 연극’을 통해 폭력의 순환고리를 깨고, ‘암환자의 배냇저고리 만들기’를 통해 죽음과 화해하며 평화로운 공존을 꿈꾸고자 한다.
안용세(한국), 유은정(한국), 김정현(한국)만질 수 있는 이야기들
패트리샤 툰스톨
(미국)세계적인 엘 시스테마 운동: 차별에 맞서고 커뮤니티를 강화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촉매제
이현정(한국)이중자화상_자유와 안정. 모순된 정체성 통합
네나 모크닉
(프랑스)전염된 트라우마, 선택된 기억
파웰 포쿠티키
(네덜란드)인터아트비즘(Interartvism): 교육적 맥락에서의 디지털 참여형 예술 실천
이호동(한국)낯선 만남
테레 퀸타닐라
(멕시코)사회적 변화를 추구하는 우리의 활동에 대한 반성
김유미(한국)디지털, 몸, 그리고 우리: 미디어 아트 교육을 통해 다시 연결하기
본페이스 베티베티
(케냐)고향의 이야기들": 매니토바 주 위니펙의 난민과 이민 청소년를 위한 극장
류성효(한국)문화활동가와 예술교육가 사이
피오나 배넌(영국)춤이 대체 무슨 상관이야? 연대와 사회 참여적 활동들
슈화 정(대만)사고와 선택의 과정을 잇는 극장 밖 연극 행위: 내가 수행하는 예술교육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장수혜(한국)책누나 프로젝트의 사례: 차이를 포용함으로써 공존하기
사이먼 샤키(영국)점프
박지은(한국)도움이 아닌 공존을 위한 이야기
김병주 & 제환정
(한국)제목미정
데이비드 레벤탈
(미국)구명밧줄로서의 춤: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춤의 기쁨과 가치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ITAC의 주제들은 저마다 그 시기와 환경, 장소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어 왔다. 그럼에도 결국 그 모든 주제들을 관통하는 공통의 핵심은 바로 Teaching Artist의 자기 성찰과 자기 개발로 귀결된다. 예술가로서 자신의 Teaching Artistry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동료들을 통해 새로운 영감을 얻는 것이 ITAC의 정신이기도 하다. 이에 ITAC5에서는 원래 제시한 세 가지 주제들에 더해, 이처럼 자기성찰과 자기개발을 촉진하는 주제를 담은 특별한 워크숍 및 세션들을 새롭게 구성하여 제시한다.
이 주제에 포함된 세션들은 Teaching Artist로서 지녀야 할 근본적 덕목과 역량에 대한 성찰, 예술교육에 접근하는 자세와 훈련, 다양한 대상 및 기관들과 관계 맺기, 그리고 우리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연습 등 폭넓고 다각적인 내용들을 망라하고 있다. 발제자들 역시 참신하고 도전적인 접근을 모색하는 젊은 세대에서부터 다양한 경험과 관점들을 제공하는 중견 세대, 그리고 원숙한 지혜와 깊은 통찰을 나누고자 하는 원로세대까지 고르게 구성되어, ‘함께 배우고 함께 성장하는’ 진정한 자기성찰과 자기개발의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제프리 마크 풀린
(미국)창조적 세대를 키우기: 티칭 아티스트의 역할
티칭 아티스트 트레이닝 랩 (미국) &한국 티칭 아티스트 트레이닝 랩 (한국)제목미정
케이티 도슨, 페이스 힐리스, 로라 에퍼슨 (미국)제목미정
마리트 울분드
(노르웨이)예술 교육자는 어떤 역량이 필요한가?
박지혜(미국)다시 상상하기 : 미래의 티칭 아티스트 양성
주디스 메리 맥틀란
(호주) 비커밍 - 예술가, 티칭 아티스트, 예술 행정가를 위한 리더십으로의 여정
진 E 테일러(미국), 마리카 크레떼 레이쥬(캐나다)경계를 넘어 길을 내다 - 예술 작품을 접하듯이 사람들을 접하기
사이먼 앤드루 토마스(호주), 빅토리아 라일(호주)스티키 STICKY
스테이시 클레이레 멘지스-토너(영국)싸우는 것이 아닌, 불씨를 지피는 것
리비 올리비아 스칼렛(영국)예술교육을 통해 정신 건강을 지원하는 창의적인 방법
리안 허칭스(영국) 코트니 보디(영국)세상으로 나아가는 티칭아티스트의 진로 개발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 YTN 뉴스퀘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우03926)
Tel : 02-6209-5959 Fax : 02-6209-1392 E-mail : contact.itac5@gmail.com
Copyright (c)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ll Rights Reserved.